top of page

비둘기, 우울하거나 무미건조한, 암울하거나 명랑한 도시우화 Pigeons, an Allegory of a City,  a Depressing, Tedious and Grim Anecdote, Or a Jolly Narrative
고충환 / 미술비평 Kho Chung-Hwan / Art Critic              
 

비둘기는 도시적인 새다. 도시 어딜 가나 비둘기가 없는 데가 없다. 크 고 작은 광장과 공원은 물론이거니와 지상 지하철 플랫폼에도 한길에 도 심지어 도로 위에도 비둘기는 어김없이 있다. 처음부터 도시에 살지 는 않았을 것이다. 일부 산비둘기가 없지 않지만, 왠지 모든 비둘기가 도시에 살기로 작정이라도 한 모양이다. 사람과 더불어 사는 것이 좋은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길들여졌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어 쩔 수 없어서 같이 사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렇게 어느새 비둘기는 천덕꾸러기가 돼 있었다. 비둘기에게 모이를 주지 마세요. 스스로 먹이활동을 통해 자립할 수 있 도록 도와줍시다. 비둘기가 좀 모인다 싶으면 어김없이 찾아볼 수 있는 팻말이나 플래카드다. 비둘기를 위한 것일까. 비둘기를 향한 사람의 이 타심일까.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정반대다. 아무 데나 똥 싸고 보푸라 기 휘날리는 것이 싫고, 예고도 없이 날아오르면서 사람들을 놀래는 것 이 싫고, 구구거리면서 연신 앞뒤로 머리를 주억거리며 걷는 것이 싫고, 도무지 감정이 있을까 싶은 무표정한 눈이 싫은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때로 전기 합선을 일으킨다는 증명되거나 증명되지 않은, 또 다른 의심 스러운 이유가 추가된다. 그 밖에도 비둘기가 싫은 이유로는 얼마든지 들 수가 있다. 이 이유는 합당한가. 비둘기가 감정이 없다고 누가 장담할 수가 있는가. 비둘기가 타고난 몸짓이 싫은 이유가 될 수가 있는가. 그냥 싫고 무조건 싫은 거다. 흔해서 싫고, 시도 때도 없이 눈에 밟혀서 싫고, 둔해서 싫고, 제대로 날지도 못하는 것이 꼭 나는 흉내를 내는 것 같아서 싫고, 주억거리는 꼴이 꼭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싫다. 여기에 핵심이 있고, 작가가 비둘기를 그리는 이유가 있다. 바로 비둘기 와 사람을 동일시하는 것이며, 비둘기를 통해서 사람 사는 모습을 보는 
것이다. 엄밀하게는 그저 사람들이라기보다는 이유도 없이 싫은 비둘 기처럼 흔한 사람들이고, 보통 사람들이고, 별 볼 일 없는 사람들이고, 그저 그렇고 그런 사람들이지만 그들 탓에 사회가 돌아가는 절대다수 의 사람들이다. 이 선남선녀들을, 필부필부들을 조르주 바타이유는 잉 여인간(실제로는 잉여)이라고 부르고, 조르주 아감벤은 벌거벗은 인간 (호모사케르)이라고 부른다. 주지하다시피 자본주의 사회는 경제 제일 주의 원칙과 효율성 극대화의 법칙에 의해 견인된다. 그런 만큼 경제성 이며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들이 사회의 변방으로 밀려난다. 조르주 바 타이유는 그렇게 변방에 처한 것들을 잉여라고 부르는데, 지극한 금기 로서의 죽음이, 그리고 흥미롭게도 예술이 지목된다. 조르주 아감벤에 의하면 이런 잉여는 때로 법으로부터조차 보호받지 못하는 사람들 곧 희생양이 된다. 그리고 기껏해야 사회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확보하 기 위해서나 의미가 있을 이 사람들의 성생활이며 건강을 관리하는 제 도의 시스템을 미셀 푸코는 생물 권력이라고 부른다(조르주 바타이유 는 소비와 낭비와 증여 같은 경제 개념을 통해서 자본주의 사회이론에 입문한다. 그리고 조르주 아감벤의 희생양 이론은 미셀 푸코의 권력 이 론의 해석에 힘입고 있다). 이처럼 작가에게 비둘기는 빽도 없고 줄도 없는 보통 사람들을 상징한 다. 때로 가방끈마저 짧은 성실하고 묵묵한 건전 시민을 상징한다. 그 리고 여기에 이유도 없이 싫은 타자며 사회적 약자를 상징한다. 그네들 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작가는 비둘기를 내세워 설문을 제안한 다. 비둘기에 대한 보편적인 의견을 들을 요량으로 인터넷에 관련 글 을 올린 것이다. 그리고 200건의 댓글이 달렸다. 그 내용을 보면 대략 혐오스럽다, 불쌍하다, 귀엽다, 무섭다 정도로 요약된다. 비둘기에 대 한 저마다의 생각을 물은 것이지만, 여기에 사회적 약자며 타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오버랩된다. 외관상 양가감정으로 상반돼 보이지만, 사 실은 타자를 향한 일관된 혐오와 배제로 모아진다는 점에서 하나같다. 이를테면 타자는 혐오스러운 대상이다. 사회적 약자는 불쌍한 존재지 만, 동시에 니체는 도덕의 이름으로 수행되는 타자를 향한 동정심과 자 선을 단호히 경계한다. 그건 잘해야 그들을 노예의 상태로 묶어두려 는 기획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타자는 귀엽다. 욕망의 대상이다(욕 망의 모호한 대상). 이외에도 사회적 약자는 때로 무서운 존재다. 거세 된 욕망을 내재화한 존재며, 따라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도 같은 존재다. 여차하면 상징계의 질서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귀환한 실 재계의 주민들이다(프로이트의 억압된 것들의 귀환, 자크 라캉의 실재 계, 슬라보예 지젝의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그리고 클 로드 샤브롤의 의식). 그렇게 작가는 혐오스러운, 불쌍한, 귀여운, 무서운 비둘기들을 그렸 다. 응시하고 탐색하는(사실은 응시하고 탐색하는 것처럼 보이는) 비둘 기들을 그렸고, 비둘기의 부리를 가진 남자를 그렸고(현대인의 초상?), 쓰레기 더민지 알 수 없는 꾸러미로 가득한 의심스러운 공간 속에 플 라스틱 교통정리 장치를 고깔처럼 눌러쓴 사람과 몰려드는 비둘기 떼 를 그렸다(현대인의 타자감정?). 그렇게 구구거리는 비둘기들 위로 다 이아몬드가 떠다니고 방울토마토가 부유한다. 당신은 방울토마토를 따 서 불쌍한 비둘기에게 먹이로 줄 수도 있고, 아니면 다이아몬드의 권능 으로 혐오스런 비둘기를 쫓아낼 수도 있다. 이제 비둘기의 운명은 당신 의 손에 달렸다. 비둘기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권력을 손에 쥔 것이 다. 하지만 권력은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돈을 주고 사야 한다. 무 슨 말인가. 화면에 떠다니는 다이아몬드와 방울토마토는 상징이다. 그 림 속 캐릭터의 활성 비활성을 결정할 수 있는, 그리고 여기에 상벌을 줄 수도 있는 상징이다(피에르 부르디외의 상징자본). 이로써 당신은 졸지 에 게임 속에 들어와 있는 유저가 된다. 덩달아 당신이 비둘기를 어떻게 보는지, 당신이 타자들을 어떻게 대하는지가 불현듯 분명해진다. 사실 을 말하자면 설문(안양 예술도가 생생 모종밭 지원 사업)도, 게임의 도 입(심즈 Sims)도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자신의 주제와 작업의 객관성 을 담보하기 위해, 그리고 자신의 작업으로 하여금 생생한 삶의 축도가 되게 하기 위해 작가가 도입한 방법이다. 그동안 주제를 보면 작가의 작업이 보인다. 《숙련과 노하우》(2015~2016), 삶은 서커스의 줄 타는 광대처럼 아슬 아슬하기만 하다. 줄에서 떨어지지 않으려면 매사에 기계부품처럼 정 확하고 어김없어야 한다(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와 질 들뢰즈의 제 도기계). 《오늘의 기약》(2017), 사실은 미래가 없는 세대, 내일을 기약 할 수 없는 암울한 세대 감정의 역설적 표현이다. 《소란스러운 적막》 (2018), 여기서 작가는 정상성으로 포장된 일상성을 뒤로하고 비정상 성의 삶의 현장에로 이끈다. 생산적인 것 같지만, 알고 보면 불모의 현
실에 주목할 것을 주문한다(미셀 푸코의 정상성과 비정상성 논의, 베르 톨트 브레히트의 소격효과, 아방가르드의 낯설게 하기, 그리고 키치의 대마왕 밀란 쿤데라가 유일하게 인정한 작가 보후밀 흐라발의 『너무 시 끄러운 고독』). 그리고 《비껴진 자리에서》(2019), 작가는 다른 시각으 로 보기를 주문한다. 다른 시각에서 보면 안중에도 없던 비둘기가 보이 고, 안 보이던 타자가 보인다. 이 일련의 주제와 작업들에서 작가는 스스로를 타자로 규정하면서 타 자의 시각에서 타자를 본다. 막 30대에 진입한 세대, 삼포세대, 88만원 세대의 성실하고 묵묵한, 기약이 없는, 어쩜 자신도 모른 채 비정상과 불 모의 공모자가 된(피에르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세대 감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제 비둘기의 눈으로 우화 도시를 보고, 회색처럼 우울한 우의 적(알레고리적) 삶의 현장을 보여준다. 

Pigeon is a common sight in cities around the world. They have become, in other words, a permanent fixture in urban landscapes—squares, parks, subway platforms, streets and pavements. But they are not from cities. There are wild pigeons, of course. But it seems almost all the pigeons decided to stay in cities. It also appears that they enjoy getting along with people. The reality, however, turns out to be false. Rather, they are forced to be urbanized. They have no option, and the evolution turned them into despised creatures. “Do not feed the pigeons. It increases their dependence on people for food.” It is easy to find such signs in public places. But it is not based on humans’ affection toward the fowls. It is more of a complete opposite reflection. People manifest the abhorrence of the urban feral birds. They are taking shit around, swooping toward your face in the morning. They are cooing around, bobbing their heads. And their eyes, some would say they hate the most, are seemingly showing no emotion. Worse, some even put an unproven blame that the birds cause the electricity supply to short-circuit. There are millions of other reasons to loathe these feathered creatures. But I don’t understand it. Every animal has its emotion, and nothing can be blamed for its nature: bobbing its head, for instance. Some people hate it because they just hate it. They hate it because they feel like it is too many. They hate it because it looks stupid and dull. They hate it because it seems like it’s not really flying, something to remind of themselves. That is where I would find Min Ah Cho’s intention to bring pigeons into her works. Cho attempts to identify the pigeons with people in the society. They are too many, just as the cooing birds. They are not unique, not impressive. But they are the people comprising our societies. Georges Bataille defined this public as human surplus. Giorgio Agamben described it as homo sacer naked (of naked life).  We are living in the age of capitalism where economic efficiency became bible. On the corner of the society is a collection of anything lack of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cy. Bataille call it surplus. It is compelling to find he tabooed death, and he pointed out arts as surplus. Giorgio Agamben noted that the surplus means the people who the law would not protect: victims. Michel Foucault coined the term called biopower to explain the strategies controlling the surplus that would provide a labor force. Bataille introduced consumption, dissipation and donation into the capitalism sociological theories. Foucault’s theory of power strengthened Agamben’s victim theory. Cho identifies the pigeons with the people without connection. The birds could be anyone at the bottom, simply working hard without complaints. The urban birdies could be underdogs of society—nobody cares about them. Cho once attempted to figure out the general idea about the urban birds through SNS, and she found around 200 replies. It could be summarized: “disgusting, pity, cute and scary.” Cho asked something about pigeons, and you can peep at how they see second-class citizens: the others. It could be appeared to be mixed feelings, but in fact the opinions are consistently summed up as hatred and exclusion. The others would be seen as something disgusting, for example. Social underdogs could be considered to be something pitiful, but Friedrich Nietzsche warned that we should be wary of compassion and charity done in the name of ethics. It is nothing but a mechanism sustaining the invisible slavery system. The others could be something cute—as a subject of (vague) desire. Along with that, social underdogs could be scary. Suppressed 
desire would be embodied, and thus it is like a time bomb that you don’t know when it is going to explode. The underdogs are real. They are about to break the order. (Freud’s The Return of the Repressed, Jacques Lacan’s The Real, Slavoj Zizek’s Welcome to the Desert of the Real and Claude Chabrol’s Self Conscious) That is how Cho has drawn disgusting, cute, scary pigeons. Cho’s subjects includes pigeons staring into the viewers, the birds exploring the city, a man with a beak, a man with a traffic controller and a flock of pigeons. Above the cooing birds are flying diamonds and floating cherry tomatoes. You can pick up the cherry tomatoes and feed the pigeons. Or you can grab the rock with supremacy and keep the nasty birds away out of your sight. Now the fowls’ destiny is in your hand—you can make or break their future. But the diamond, or the supremacy, is not coming for free—you have to pay for it. What the cherry tomatoes and diamonds link with Pierre Bourdieu symbolic capital. In other words, the little tomatoes and the rocks would determine action or inaction—and they would lead to an award or a punishment. You would play a certain role in a game. At the same time it would become clear to find how you see the pigeon, a reflection of how you treat others. This is not the first attempt, however. There was the seedling support project that Anyang Foundation for Culture & Arts Project launched. And there was a game called Sims. But it is still meaningful, because it serves as a proof that Cho is striving to maintain the objectivity of the works. This is how Cho brings lives into the world she creates. You can see the themes of previous pieces to understand the artworks. Looking into Skills and Knowhow (2016), life is not stable just as a clown walking on a rope. Everything should be working out as it is supposed to, just like machinery, to stay on a thin line. Remember Charlie Chaplin’s film Modern Times and Gilles Deleuze’s Drawing Tools. Pledge of Today (2017), represents an irony manifesting a dark generation without the future and its response. In Deafening Silence (2018), Cho attempted to lead you to the field of life with the unusuality, from the dailiness with the usuality. The artist asks to pay attention to the unknown reality seeming productive but meaningless. Remember Michel Foucault’s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Discussion, Bertolt Brecht’s Estrangement Effect, Kitsch’s The King of the Devil, Bohumil Hrabal’s Too Loud a Solitude, and avant-garde’s ways to make things unfamiliar. Through In a Detached Position (2019), Cho suggests viewers to see the work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so you can see abandoned pigeons or invisible others. Through a series of artworks, defining herself as the invisible others, Cho makes an effort to see the others from their points of view. The generation in their early 30s has long become a culprit of the unknown usuality, giving up courtship, marriage and having kids. The society calls them a generation of 880 dollars to express the working-hard, quiet, unpromising youngsters. Now, you can see the city in an allegory from the urban birds’ points of view. Cho unveils the depressing life, the reality. 

 

bottom of page